인천광역시 중구 대기현황

통합검색

대기오염물질

미세먼지(PM-10)란?

  • 미세먼지는 대기 중 고체상태의 입자와 액적상태의 입자의 혼합물로 공지역학지경이 10μm 이하인 부분을 의미합니다.
  • 미세먼지는 주로 산업, 운송, 주거활동 등에 의한 연소나 기타 공정에서 직접 배출되는 1차 먼지(조대영역)와 황산염, 질산염과 같이 대기 중 반응에 의해 생성된 2차 먼지(미세영역)로 구분됩니다.
  • 인위적인 발생원에는 산업, 발전, 자동차 등이 있으며, 자연적 발생원으로 안개, 화재, 황사, 화산폭발 등을 들 수가 있습니다.
  • 미세먼지는 천식 등과 같은 호흡기 관련 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고 그에 따른 발병, 입원율의 증가를 가져오며 사망률을 높이거나 저체중 혹은 조기출산 같은 생식 이상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초미세먼지(PM-2.5)란?

  • 미세먼지의 ¼ 크기로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등의 이온성분과 금속화합물, 탄소화합물 등의 유해물질로 이뤄져 있습니다.
  • 자동차 배기가스 혹은 화석연료 연소시에 발생합니다.
  •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기도에도 걸러내지 못하고 대부분 폐포 깊숙이 침투해 심장질환과 호흡기질환을 일으킵니다.

오존(O₃)이란?

  • 오존은 광학적 옥시던트(질소산화물과 탄화수소가 자외선에 의한 촉매반응을 하여, 생성하는 물질) 중 하나로 2차 오염물질에 속하며 무색, 무미, 해초냄새의 기체로 산화력이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 전구물질의 하나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자동차, 화학공정, 석유정제, 도로포장, 인쇄, 세탁소 등에서 주로 배출되며 삼림에서도 자연 배출되고 있습니다.
  • 오존은 성층권에서 자외선을 차단하여 생태계를 보호해주는 역할도 하며, 대류권에선 인위적 전구물질의 광화학 반응에 의한 생성 외에 해안가, 삼림 등에서도 생성됩니다.
  • 오존에 대한 반복노출은 기도와 폐포의 신경수용체를 자극, 평활근을 수축시켜 기도를 좁게 만듭니다. 이런 기작은 결과적으로 가슴통증, 기침 메스꺼움 등을 유발하고 소화에 영향을 미치며 심하면 기관지염, 심장질환, 폐기종, 천식의 악화를 가져옵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자, 노약자, 어린이들에게 영향이 크며, 고농도 상황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산화질소(NO2)란?

  • 이산화질소는 질소산화물(NOX) 중에서 대기오염에 가장 영향이 많은 물질로 적갈색의 자극성 냄새가 있는 유독한 기체입니다. (NO2의 독성은 NO의 5~10배입니다.)
  • 질소산화물은 연소공기 중의 질소 및 연료에 포함된 질소가 연소온도에 영향을 받아 산소와 결합하여 생성되며 NO2, N2O, NO, N2O3 등이 해당됩니다.
  • 이산화질소는 연소과정에서 또는 연소 후 NO가 산화하여 생성되기도 합니다. 주요 배출원은 내연기관, 발전소와 같은 고온연소, 폭약, 비료, 필름 등의 제조 등이 있습니다.
  • 이산화질소 노출 시에 식물보다는 사람이 피해를 받기 쉬우며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전구물질(Precursor)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일산화탄소(CO)란?

  •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맹독성 기체로 주로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자동차가 가장 중요한 일산화탄소 배출원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통체중이 심한 도심지역에서 고농도의 일산화탄소 오염이 많이 관측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외에는 코크스 연로로, 제련, 석유화학 등 화기를 취급하는 산업공정 및 발전, 유기합성 공업 등이 주요 배출원입니다. 실내에서도 주방, 담배연기, 지역난방 등이 발생원이 되며 자연적 원인으로는 산불 등이 크게 작용합니다.
  • 일산화탄소는 체내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헤모글로빈과 결합(산소보다 210배 강한 결합력)하여 COHb(정상인의 COHb는 0.5%)를 생성하고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저하시킵니다.원래 체내에는 일정량의 일산화탄소가 신진대사의 산물로서 존재하지만 혈액 중 COHb는 흡입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에 비례하므로 고농도의 일산화탄소에 대한 노출은 건강한 사람도 위험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뇌조직 및 신경계통에 주로 피해를 주어 운동신경, 근육마비, 사고능력 저하 등을 가져오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까지 합니다.

아황산가스(SO2)란?

  • 아황산가스는 황산화물(SOx)의 대표적인 가스상 대기오염물질로 불쾌한 자극취가 있는 무색의 불연성 기체입니다.
  • 황산화물은 황을 함유한 연료 등을 연소할 때 주로 발생하며 아황산가스(SO2), 삼산화황(SO3), 아황산(H2SO3), 황산(H2SO4) 등을 포함하지만 그 중 아황산가스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대기오염과 관련해서는 아황산가스 실측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 주요 배출원은 금속용융, 석유정제, 황산제조와 같은 산업공정 등이 있으며, 광화학반응이나 촉매반응에 의하여 다른 오염물질과 반응,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하고 대기 중 습도가 높을 때는 아황산, 황산 미스트 등을 형성하여 시정감소, 부식, 생태계와 인간에 악영향을 미치게 합니다. 아황산가스는 고농도에서 비강과 인후에 많이 흡수되며 점막액과 반응하여 황산을 형성해 염증을 일으키고 눈, 코, 기도 등을 자극합니다. 아황산가스에 의한 급성피해로는 불쾌한 자극성 냄새, 시정감소, 생리적 장애, 압박감, 기도저항 증가 등이 있고 계속된 노출에 의한 만성피해로는 페렴, 기관지염, 천식, 폐기종, 폐쇄성 질환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납(Pb)이란?

  • 납(Pb)은 인체에 유해한 대표적 중금속으로 1980년대 중반까지는 자동차 연료인 유연휘발유 중의 사에틸납(Tetra Ethyl Lead, 노킹 방지제)이 주요 배출원이었으나 무연휘발유 사용에 따라 그 배출비율이 감소하여 현재는 철·비철 제련활동, 배터리 제조 등과 관련된 산업활동이 배출원의 주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체 배출량도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무기성 납은 소화관 흡수가 어려워 성인의 경우 소화관으로 들어온 납의 10%를 흡수하지만 아이들은 약 50%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흡수량의 95%는 적혈구와, 그 나머지는 혈장단백질과 결합하며 체내에 존재하는 납은 90%가 뼈에서, 10%는 신장이나 간에서 발견되고 신장, 간장, 신경계통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납의 과다흡입은 발작, 지적 성장력 부진, 행동장애 등을 일으키며 칼슘, 철분의 공급이 불충분하면 납의 흡수와 독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벤젠(Benzene)이란?

  • 벤젠(Benzene)은 상온, 상압에서 독특한 방향을 가진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휘발성이 강하여 매우 기화하기가 쉽습니다.
  • 배출원은 합성 세제, 페인트, 안료, 농약, 인쇄소, 고무공장 등이 있으며, 2010년 1월부터 연평균 5µg/㎥ 수준의 대기환경기준 적용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인체에 주는 영향은 반복폭로에 따른 장애로 그 주된 작용은 골수의 조혈기능장애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증기를 들이마시면, 증기의 농도와 증기에 접촉하는 시간에 따라서 급성 혹은 만성중독을 일으킵니다.
  • 공기 중에 2%(20000ppm)의 벤젠, 톨루엔, 크실렌이 섞여 있으면 5~ 10분에 사망할 정도의 급성중독을 일으키며, 7500ppm에서도 30~ 60분에 사망하는 위험이 발생합니다. 처음에 단시간의 흥분기를 거쳐서 깊은 마취상태에 빠지고 이때 오염환경으로부터 신선한 장소로 옮기지 않으면 사망할 우려가 있습니다. 회복한 뒤에도 1~ 2일 계속 숙취가 남게 됩니다.
  • 만성중독은 피로감, 식욕부진, 빈혈 등을 가져오며 백혈구수가 감소한다. 또 신경쇠약이나 건망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벤젠의 흡수는 증기의 흡입 뿐만이 아니라, 액체상태라도 탈지작용에 의해 피부에 흡수되므로 직접 저촉해선 안됩니다.
자료 출저 : 보건환경연구원 환경정보시스템(incheon.go.kr)
자료담당부서
환경보호과 환경지도팀  (032-760-7402)
최종수정일
2024-06-17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패밀리 사이트 바로가기

  • GO
  • GO
  • GO
  •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