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서동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사업 교육 및 홍보
- 작성자 :
- 운서동
- 작성일 :
- 2024-10-22
붙임1 | | 홍보 결과 서식 |
Ⅰ.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로드맵
Ⅱ. 장애인 자립지원 사업
장애인 경제적지원 및 의료보장
사 업 명 | 사업내용 | 대 상 | 신청기간 | 신청장소 |
장애인연금 지원 | ○ 저소득 중증장애인 연금 지원 (매월 40천원~403천원 지원) | ○ 장애인연금법상 18세 이상 중증장애인 소득인정액 이하인 자 (소득인정액기준 단독가구 122만원 /부부가구 195.2만원) | 연중상시 | 洞, 온라인 |
장애수당 지원 |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중 경증 장애인 장애수당 지원 (매월 30천원~60천원) | ○ 18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중 경증장애인 | 연중상시 | 洞 |
장애아동수당 지원 |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장애아동에게 장애아동수당 지원 (매월 30천원 ~220천원) | ○ 18세 미만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중 장애아동 | 연중상시 | 洞 |
장애인 의료비지원 | ○ 저소득 장애인 의료비 본인부담금지원 | ○ 의료급여법에 의한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인 등록 장애인 ○ 건강보험의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인 등록장애인 | - | 의료기관 방문 장애인등록증 및 의료급여증 제시 |
여성장애인출산비용 지원 | ○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1인당 1백만원 | ○ 등록 여성장애인 | 연중상시 | 洞 |
청각장애아동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지원 | ○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및 재활 치료 지원 | ○ 인공달팽이관 수술로 청력회복이 가능한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이며 39세 이하의 청각장애인 | 연초 | 洞 |
장애인등록 진단비 및 검사비 지급 | ○ 장애등록이 필요한 저소득층에게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 | ○ 기초생활수급자 - 신규등록, 재판정 시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 ○ 차상위계층 - 재판정 시 진단비 및 검사비 지원 | 연중상시 | 洞 |
발달장애인 자산형성지원 | ○ 발달장애인 경제적 자립을 위한 자산 형성 지원 - 월)본인부담금 15만원 + 시비 15만원 적립 - 만기금액 1,080만원 + 이자 | ○ 중위소득 100% 이하인 16세 이상 39세 이하인 발달장애인 | 4월경 | 洞 |
장애인 일자리 지원
사 업 명 | 사업내용 | 대 상 | 신청기간 | 신청장소 |
장애인 일자리사업 | ○ 장애인에게 일자리 지원 | ○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 매년 11월말 ~ 12월 초 | 區 |
장애인 바우처 지원
사 업 명 | 사업내용 | 대 상 | 신청기간 | 신청장소 |
발달재활 서비스 | ○ 언어, 청능, 미술심리재활, 음악재활, 행동, 놀이심리, 재활심리, 감각발달재활 등 | ○ 18세 미만 시각 · 청각 · 언어 · 지적 · 자폐성 · 뇌병변 장애아동 및 장애가 예견되어 발달재활서비스가 필요한 영유아(6세 미만)로 기준중위 소득 180% 이하 | 연중상시 | 洞 |
언어발달지원서비스 | ○ 사업내용 : 언어치료, 청능치료 | ○ 12세 미만 비장애 아동 (한쪽 부모가 시각 · 청각 · 언어 · 지적 · 자폐성 · 뇌병변 등록 장애인)으로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 연중상시 | 洞 |
발달장애인 부모심리상담 지원 | ○ 발달장애인 부모 및 보호자 상담(개별/집단) 지원 | ○ 발달장애인(지적 · 자폐성 장애인) 및 6세 미만 발달장애가 의심 되는 자녀를 둔 부모(심리검사 실시) | 연중상시 | 洞 |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 ○ 사업내용 : - 아동의 가정 또는 돌보미 가정 등에서 돌봄서비스 제공 * 연 840시간 범위, 월 120시간 이내 지원 휴식 지원프로그램 : 교육, 문화, 상담 및 치표, 자조모임, 정보제공 등 | ○ 18세 미만 「장애인복지법상」상 등록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아동과 생계 ․ 주거를 같이하는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가정 ○ 휴식지원프로그램 : 소득기준 상관 없이 18세 미만의 모든 장애아 가정 | 연중상시 | 洞 |
장애인 활동지원
사 업 명 | 사업내용 | 대 상 | 신청기간 | 신청장소 |
장애인 활동지원 | ○ 신체활동·가사활동·이동보조 등 활동보조, 방문목욕, 방문간호 지원 | ○ 6세 ~ 64세 등록장애인 | 연중상시 | 洞 |
시추가 중증장애인 활동지원 |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시간 10 ~ 80시간 추가 지원 | ○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 중 종합조사 점수가 12구간 이상으로 추가 시간이 필요한 대상 | 연중상시 | 洞 |
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 | ○ 월 465시간 범위 내 24시간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제공 | ○ 장애인활동지원 대상자 중 최중증 장애인으로 24시간 활동지원이 필요한 대상자 | 연중상시 | 洞 |
발달장애인 주간 및 방과후 활동 지원 서비스
사 업 명 | 사업내용 | 대 상 | 신청기간 | 신청장소 |
성인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 ○ 2~4인 그룹을 구성하여 신체 활동, 문화체험, 체험 활동 등 프로그램 제공 | ○ 18세 이상 64세 발달장애인 (지적·자폐성) | 연중상시 | 洞 |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 ○ 2~4인 그룹을 구성하여 취미, 여가, 자립준비, 체험활동 등 제공 | ○ 6세 ~ 17세의 청소년 발달장애인 (지적·자폐성) | 연중상시 | 洞 |
장애인편의증진 지원 사업
사 업 명 | 사업내용 | 대 상 | 신청기간 | 신청장소 |
장애인 재활 정보신문 보급 및 앱 운영 | ○ 관내 등록장애인 중 신청자에 한해 장애인 재활정보신문 보급 - 1가구 1부, 월 2회 ○ 장애인복지정보 모바일 앱 제공 | ○ 등록장애인 | 연중상시 | 洞 |
장애인 재활보조기기 교부 |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장애인(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심장 등)에게 장애인보조기기 교부 | ○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 | 연중상시 (예산 소진 시까지) | 洞 |
장애인하이패스 감면단말기 지원 | ○ 등록 장애인 중 장애인통합복지 카드 소지자에게 단말기 자부담 부분 지원 | ○ 등록 장애인 | 연중상시 예산 소진 시까지 | 남인천 톨게이트,하이원 |
장애인등록증 개별배송 지원 | ○ 장애인등록증 우편배송비 지원 (자택, 근무지 등으로 무료배송) | ○ 등록장애인 | 연중상시 | 洞 |
기타 시 지원 사업
사 업 명 | 사업내용 | 대 상 | 신청기간 | 신청장소 |
장애인 이동기기‧자세유지기구 보급 |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무료 지원, 일반가정은 실비 ○ 운영기관 노틀담복지관 032-540-8988 | ○ 인천에 거주하는 장애인 중 자세 유지기구가 필요한 신체장애인 | 연중상시 | 방문, 인터넷 |
장애인 수중 재활치료사업 | ○ 개별 및 母子그룹치료, 자유수영 등 수중 재활치료 ○ 위탁운영기관 - 인천장애인복지관 032-833-3051 남동장애인복지관 032-472-4004 | ○ 인천에 거주하는 장애아동 - 뇌병변, 근이양종, 척추손상 등의 중추신경계 질환 장애아동 지체장애인 및 관절질환 장애아동 | 연중상시 | 위탁기관 문의 |
장애인 수어통역센터 운영 | ○ 청각언어장애인 상담지도, 출장수어통역서비스 제공 ○ 운영기관 인천수어통역센터 032-212-2776 | ○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청각 언어장애인 | 연중상시 | 운영기관 문의 |
장애인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 | ○ 정보통신 보조기기 제품가격의 8~90% 지원 ○ 홍보체육실 정보화팀 문의 | ○ 시각, 청각, 언어, 지체뇌병변 등 등록장애인 | 5월 중 | 방문, 우편, 인터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