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업안내
성매개감염병/에이즈관리
1. 성병관리사업
[성병 종류]
- · 매독 : 매독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성 질환으로 감염 후 2~10주내에 감염부위에 구진과 경성하감 궤양을 유발함
- · 임질 : 임균 감염에 의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의 성기부위 질환
- · 클라미디아감염증 :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 감염에 의한 요도염이나 자궁경부염 등의 성기부위 질환
- · 그 외 성병 : 연성하감, 성기단순포진, 첨규콘딜롬,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트리코모나스 질염
검사 대상
- 성매개감염병 검사 희망자
-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 건강진단대상자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 건강진단 대상자 | 건강진단 항목 및 횟수 | ||
---|---|---|---|
매독검사 | HIV 검사 | 그 밖의 성매개감염병검사 | |
「청소년보호법 시행령」 제6조 제2항 제1호에 따른 영업소의 종업원 | 1회/6개월 | 1회/6개월 | 1회/6개월 |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2조 제1항에 따른 유흥접객원 | 1회/3개월 | 1회/6개월 | 1회/3개월 |
「안마사에 관한 규칙」 제6조에 따른 안마시술소의 종업원 | 1회/3개월 | 1회/6개월 | 1회/3개월 |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성매개감염병 및 후천성면역결핍증을 감염시킬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한다고 인정하는 영업장에 종사하는 사람 | 1회/3개월 | 1회/6개월 | 1회/3개월 |
검사 방법(*대상자에 따라 가능한 검사 상이함)
- 임질, 클라미디아 : 뇨화학검사
- HIV, 매독 : 면역혈청검사
검사 절차
- 원도심 : 민원실 1층(접수) -> 검사실 2층(검사) -> 민원실(검사결과지 수령)
- 영 종 : 민원실 1층(접수) -> 검사실 2층(검사) -> 민원실(검사결과지 수령)
성매개감염병 검사 및 상담 문의 : ☎ 032-760-6054(감염병대응팀)
2. 에이즈관리사업
HIV와 AIDS란?
HIV는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약자로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를 말하며, HIV에 감염되면 인체의 면역기능 중 세포성 면역에 관계되는 CD4+ T 림프구가 주로 파괴된다.AIDS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자로 HIV 감염 후 인체 방어 면역력이 떨어져 건강한 사람에게 잘 나타나지 않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원충 또는 기생충 등에 의해 각종 감염성 질환이나 악성종양 등 여러 합병증이 발생하는 상황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HIV는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약자로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를 말하며, HIV에 감염되면 인체의 면역기능 중 세포성 면역에 관계되는 CD4+ T 림프구가 주로 파괴된다.AIDS는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약자로 HIV 감염 후 인체 방어 면역력이 떨어져 건강한 사람에게 잘 나타나지 않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원충 또는 기생충 등에 의해 각종 감염성 질환이나 악성종양 등 여러 합병증이 발생하는 상황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검사 대상 : HIV 검사 희망자
검사방법
- HIV 항체검사 : 혈액검사(감염 의심일로부터 약 4주경 검사)
- 음성 → 감염 의심일 기준 6주 이후 : 효소면역시험법(EIA) / 감염 의심일 기준 12주 이후 : 그 외 검사법
- 양성 → 확인 검사 후 HIV 감염 진단
(*선별검사 음성의 경우, 위음성 가능성을 고려하여 재검사 필요)
- 익명 검사 실시(단, 진단서 및 검사결과 제출 시에는 무료 익명 검사에서 제외)
검사절차
- 민원실 1층(접수) → 검사실 2층(검사) → 민원실(검사결과지 수령)
- 익명(원도심) : 호흡기 보건실 2층(접수 및 상담) → 검사실 2층(검사) → 담당자 검사결과 확인(유선 또는 방문)
- 익명(영 종) : 검사실 2층(접수 및 검사) → 담당자 검사결과 확인(유선)
준비물 : 신분증(실명 검사 시 필요)
감염경로
- 성 관계를 통한 감염(이성 또는 동성간 성접촉)
- 오염된 혈액이나 혈액제제에의 노출(헌혈된 모든 혈액은 사전 HIV 오염 여부 검사로 수혈감염은 거의 없음)
- 수직감염(HIV에 감염된 모체로부터 아기에게 전파 또는 분만 후 모유 수유를 통해 감염)
*HIV에 감염된 상태로 임신을 원하는 경우 감염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전문의사와 상담 - 오염된 주사기의 공동 사용
(HIV에 오염된 주사 바늘을 공동 사용하는 경우 감염 발생)
예방방법
- 콘돔으로 감염 예방 가능합니다.(단, 콘돔피임 실패율이 14%인 만큼 과신 금물)
- 배우자 외 여러 사람과의 성관계를 삼가야 합니다.
- 주사기나 면도날을 공동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 HIV가 의심된다면 빠른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HIV 검사 및 상담 문의 : ☎ 032-760-6054(감염병대응팀)
- 자료담당부서
- 보건행정과 질병예방팀 (032-760-6054)
- 최종수정일
-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