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알림
일반
원숭이두창 질병개요 및 Q&A
- 작성자 :
- 보건행정과
- 작성일 :
- 2022-06-24
1. 원숭이두창 질병개요
▫ (개요) Monkeypox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희귀질환, 1958년 코펜하겐 국립혈청연구소가 사육 원숭이에서 첫 발견, 1970년 DR콩고에서 첫 인간 감염사례 이후 중앙 및 서부 아프리카의 농촌 열대우림지역에서 주로 발생, 대다수 사례는 DR콩고와 나이지리아에서 발생 보고, 두창과 유사하나 중증도는 낮음 ▫ (바이러스 특성) Poxviridae과 Orthopoxvirus 중 하나로 이중 가닥 DNA바이러스임, DNA 바이러스 특성 상 변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고됨, 바이러스의 독성 변화는 중앙아프리카에서 분리된 균주에서 관찰되었으며, 서아프리카의 균주보다 독성이 더 높음 ▫ (잠복기) 5~21일(보통 6-13일) ▫ (전파경로)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동물->사람, 사람->사람, 감염된 환경->사람으로 전파 - (피부병변 부산물) 감염된 동물·사람의 혈액, 체액, 피부, 점막병변과의 직간접 접촉 - (매개물) 감염환자의 체액, 병변이 묻은 매개체(린넨, 의복 등) 접촉 통한 전파 - (비말) 코, 구강, 인두, 점막, 폐포에 있는 감염비말에 의한 사람 간 직접 전파 - (공기)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 가능하나, 흔하지 않음 ▫ (병원소) 감염된 야생동물(원숭이, 다람쥐, 감비아 자이언트 쥐 등) 등 ▫ (치명률) 일반적으로 약 1~10%로 알려져 있으며, WHO에 따르면 최근 치명률은 3~6%으로 보고되고 있음 ▫ (임상증상) 질병의 정도는 경증에서 중등도이지만 치명적일 수 있음 - 발열, 두통, 림프절병증, 요통, 근육통, 근무력증 등을 시작으로 1-3일 후에 얼굴 중심으로 발진증상을 보이며, 원심형으로 신체 다른 부위(특히 사지) 확산, 구진성 발진은 수포, 농포 및 가피 등으로 진행되며 신체 동일 부위 발진은 대개 같은 진행 단계인 것과 림프절병증 동반이 특징, 증상은 약 2-4주 지속 ▫ (진단) 검체(혈액, 피부병변조직, 피부병변액, 가피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임상증상이 비슷한 수두, 홍역, 옴, 매독 등과 감별 진단 중요 ▫ (치료) 대부분 자연회복, 대증치료(국내 상용화된 특이치료제는 없음) * 시도포비어(희귀의역품센터) 및 백시니아면역글로불린(질병청 비축물자) 활용 가능 ▫ (예방) 두창바이러스와 구조가 비슷하여 두창백신으로 교차면역반응 유도, 약 85%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2. 원숭이두창 관련 Q&A
Q1) 원숭이두창은 어떤 병인가요?
- 원숭이두창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으로 증상은 두창과 유사하나 중증도는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Q2) 원숭이두창은 어떻게 감염되나요?
-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동물>사람, 사람>사람, 감염된 환경>사람 간 접촉을 통해 감염이 가능합니다. 현재까지는 쥐와 같은 설치류가 주 감염 매개체로 지목되고 있으며, 주로 유증상 감염환자와의 밀접접촉을 통해 감염됩니다. 또한, 호흡기 전파도 가능하나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는 흔하지는 않기 때문에, 코로나19처럼 전파력이 높은 질환은 아닙니다.
- 감염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타액, 소변, 구토물 등) 등이 피부상처 또는 점막을 통해 직접 접촉 감염
-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으로 오염된 옷, 침구류, 감염된 바늘 등이 사람의 점막, 피부 상처 등 접촉 감염
- 감염된 원숭이, 다람쥐 등 동물과의 직접 접촉 감염
Q3) 원숭이두창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있나요?
- 발열, 발진, 두통, 근육통, 허리통증, 무기력감, 림프절병증(비대, 염증) 등이 있습니다. 발진은 일반적으로 발열 후 1~3일 이내 시작하며 얼굴, 손바닥, 발바닥에 집중하여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간혹 입, 생식기 또는 안구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편 이러한 발진 등 임상증상은 약 2~4주 지속될 수 있습니다.
Q4) 원숭이두창은 주로 어디에서 발생하나요?
- 나이지리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등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일부 국가*
에서 풍토병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베냉,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가봉, 가나(동물에서만 확인),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나이지리아, 콩고, 시에라리온
Q5) 최근 원숭이두창이 발생하는 국가는 어디인가요?
- 2022. 5. 7. 영국에서 1건의 원숭이두창 유입사례(나이지리아) 보고 이후 유럽, 북미, 이스라엘 등 다수 국가*에서 감염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총 25개국, 5. 31. 기준) 영국,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미국, 캐나다, 벨기에, 몰타,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이스라엘, 스위스, 호주, 덴마크, 오스트리아, 체코, 아르헨티나, 슬로베니아, 핀란드, 아일랜드, 멕시코, 아랍에미리트, 헝가리, 노르웨이
Q6) 원숭이두창에 감염되어도 안심할 수 있나요?
- WHO에 따르면 최근 원숭이두창의 치명률은 3~6% 수준으로 무시할 수준은 아닙니다. 단, 신생아, 어린이, 면역저하자 등에서는 심각한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염자는 의료기관을 통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풍토명 지역 치명률 : 서아프리카 1%, 중앙아프리카 10~11% 가량
Q7) 국내에서 원숭이두창에 대한 진단이 가능한가요?
- 질병관리청은 2016년에 원숭이두창에 대한 검사체계를 이미 구축하여 의심환자 발생 시 검사를 통해 확진 판정이 가능합니다.
Q8) 국내에서 원숭이두창 예방을 위한 백신접종이 가능한가요? (해외여행 예정 등 목적)
- 국내 비축하고 있는 두창 백신은 생물테러 또는 국가의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사용할 목적으로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현재 일반 국민 접종은 검토하고 있지 않습니다.
Q9) 원숭이두창과 다른 피부질환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원숭이두창 (Monkeypox) | 수두 (Varicella) | 대상포진 (Herpes zoster) | 단순포진 (Herpes simplex) | 홍역 (Measles) |
임상 증상 | • 발열+두통+근육통 • 고열 가능 • 발열 1~4일 후 발진 발생 | •두통+근육통 •보통은 미열 (38.8도 미만) •발열 0~2일 후발진 발생 | •통증이 먼저 나타날 수 있음 (감각신경 침범) •운동신경 침범의 경우 마비 동반 가능 | •병변 부위 통증, 가려움증 유발 | •발열+기침 +결막염 •전구증상 후 발진 발생 |
발진 특징 | •머리부터 시작해서 전신 팔다리 쪽으로 진행 •경계가 명확하고 중앙이 파인 수포성발진 •대부분 같은 단계의 발진 •손/발바닥 침범 | •머리를 포함하여 주로 몸통으로 진행 •경계가 불명확한 수포성 발진 •발진마다 단계가 다를 수 있음 •손/발바닥 침범 드묾 | •몸 전체에 나타날 수 있으며, 신경절을 따라 띠 형태로 나타남 •국소적인 부위에 나타나는 수포성 병변 | •국소적으로 피부, 점막 (눈, 입술 등)모두 침범 가능 •수포, 궤양 동반 가능 | •붉은 반구진성발진 •얼굴~귀 뒤 발생이후 몸통 중앙 으로 진행 •탈피 가능 |
| | ||||
림프절 병증 | • 주로 목, 겨드랑이, 서혜부 • 단단한 압통 | • 드묾 | • 드묾 | • 드묾 | • 드묾 |
* 원숭이두창 의심증상 발생 시 질병관리청 (1339)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중구 보건소 업무 재개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