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공원 코스
자유공원 코스응봉산 자락의 자유공원에 오르면 자유공원 광장에서 시가지 일부와 항만시설, 서해바다의 전경이 시원스레 펼쳐집니다.
- 홍예문
- 자유공원
- 구)제물포구락부
-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 인천기상대
- 대한성공회
인천내동교회

- 홍예문
- 무지개처럼 생긴 문이란 뜻의 홍예문은 인천 시내 남북간 교통 불편을 해소한다는 명분으로 일본 공병대가 1906년 착공하여 1908년 준공하였다. 화강석과 벽돌을 혼용한 아치구조로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시 유형문화재 제49호)

- 자유공원
- 서울 탑골공원(옛 파고다공원)보다 9년 먼저 세워진 한국 최초의 서구식 공원인 자유공원(1888)은 주변 벛나무 거리 등 산책로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매년 4월이면 만개한 벛꽃이 눈처럼 흩날려 어느새 자유공원엔 꽃물이 든다.

- 구)제물포구락부
- 인천에 거주하던 영미독러일본인들의 사교장이었던 구)제물포구락부(1901)는 1931년 정방각, 해방 후 미군 장교클럽, 휴전 후 우리나라 최초의 공립박물관으로 변신을 거듭했고,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인천문화원으로 사용되다 2007년 제물포구락부로 재탄생하였다.(시 유형문화재 제17호)
문의:032)765-0261

-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 이 탑은 한 세기 동안 맹방의 결속을 다진 양국간의 영원한 우애와 유대를 상징한다. 외형은 돛을 형상화하여 인간, 자연, 평화, 자유를 상징하는 8개 탑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인천기상대
- 인천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관측소가 세워진 곳이다. 1904년 통감부 관측소로 기상관측업무를 시작한 이래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화재편돼오다 한국전쟁 후 인천기상대로 재편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 대한성공회 인천내동교회
- 1890년 한국 최초로 설립했던 성미가엘 교회가 바로 대한성공회 인천내동교회이다. 화강암으로 쌓아올린 중후한 중세풍의 석조 교회당은 1955년 정초식을 올려 1956년 준공한 건물로 오늘에 이른다.(시 유형문화재 제51호)
- 자료담당부서
- 문화관광과 관광팀 (032-760-6475)
- 최종수정일
- 2020-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