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새로운 도약 글로벌 융합 도시 인천 중구


자유게시판

주휴수당 조건 기준과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법 바로가기 - 알바 주휴수당 계산 포함

작성자 :
한인희
작성일 :
2025-10-21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주당 정해진 근로시간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입니다. 이는 근로자가 정해진 근로일을 성실히 근무했을 경우, 1주일에 최소 1일의 유급휴일을 보장받으며, 휴일에도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추가로 이번 글에서는 기본적인 근로형태의 주휴수당 발생조건 뿐 아니라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발생 그리고 주휴수당 계산법과 간편히 사용가능한 주휴수당 계산기에 대해서도 폭넓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의 바로가기 및 주소를 클릭하여 본문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클릭이 안되는 경우는 다소 귀찮으시더라도 복사하시면 됩니다.^^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 계산법 기준 알아보기▼

알바 주휴수당 기준과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https://m.site.naver.com/1LHv3





주휴수당의 조건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주 15시간 이상 근무: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무시간)이 1주일 동안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2.소정근로일 개근:
근로자가 약속된 모든 근로일에 결근 없이 출근해야 합니다.

●지각이나 조퇴는 주휴수당 지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단, 무단 결근이 발생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3.근로 계약 내용 준수:
계약서에 명시된 근무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기준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하루 임금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1. 정규직 또는 주 40시간 근로자
1일 통상임금을 주휴수당으로 지급받습니다.

●예: 시급 10,000원 × 8시간 = 80,000원

2. 시간제 또는 단시간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수당은 주 근무시간에 비례하여 계산됩니다.
계산법:(1주근무시간÷40시간)×8시간×시급(1주 근무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1주근무시간÷40시간)×8시간×시급

예시:

●주 20시간 근무, 시급 10,000원: (20÷40)×8×10,000=40,000원(20 ÷ 40) × 8 × 10,000 = 40,000원(20÷40)×8×10,000=40,000원

아래의 바로가기를 통해 주휴수당을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꼭 참고하시고 제대로 계산하셔서 잊지말고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과 아르바이트 근로자의 권리
1.주휴수당은 의무적 지급 항목

●아르바이트생도 정규직과 동일하게 주휴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이는 법적 강제사항입니다.

2.근로계약서 작성 필수

●근로계약서에는 소정근로시간과 임금 조건을 명확히 기재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주휴수당이 산정됩니다.

3.노동부 신고 가능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사업주는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하며,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면 권리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4.주휴수당의 필요성
5.근로자 권리 보호:
근로자가 휴식을 취하는 날에도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6.안정적 소득 지원:
주휴수당은 근로자에게 추가 소득원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생계를 돕습니다.

7.근로 환경 개선:
유급휴일 제공은 근로자의 피로를 해소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아래의 바로가기 및 주소를 클릭하여 본문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클릭이 안되는 경우는 다소 귀찮으시더라도 복사하시면 됩니다.^^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 계산법 기준 알아보기▼

알바 주휴수당 기준과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https://m.site.naver.com/1LHv3
목록    
자료담당부서
홍보체육실 홍보영상팀  (032-760-7124)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