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새로운 도약 글로벌 융합 도시 인천 중구


보도자료

인천 중구, 올해 약국 13개소와 협력해 복지 위기가구 발굴 체계 강화

제공부서 :
홍보체육실 /
제공일자 :
2024-05-08

 

인천 중구, 올해 약국 13개소와 협력해 복지 위기가구 발굴 체계 강화

 

- 인천 중구-인천 중·동구 약사회 지난 4월 업무 협약으로 위기가구 발굴 협력 약속

- 인천 중구 약국 13개소 위기가구 발견 시 이웃 지킴이 카카오톡 채널(똑똑n)에 즉시 신고

- 민간-공공 협력으로 사각지대를 발굴하기 위한 인적 자원망 지속 확대

 

최근 사회복지안전망 강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은 가운데, 민선 8기 인천시 중구(구청장 김정헌)의 민관 협력 복지 위기가구 발굴 체계 이웃 지킴이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8일 인천 중구에 따르면, ‘이웃 지킴이는 중구와 관내 민간기관·단체 간 상호 협력으로 취약 위기가구를 조기 발견, 신속히 지원하는 돌봄 체계다. 지난해 종교시설 18곳과 협력 관계를 맺은 후 현재 31곳까지 협력 기관이 늘었다.

 

특히 구는 올해 4월 인천 중·동구 약사회(회장 천명서)와 업무 협약을 맺고, 위기가구 발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기존 복지부 시스템 등 공적 자원만 가지고는 위기가구를 찾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 민간기관·단체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위기가구 발굴의 접점을 넓히기 위함이다.

 

더욱이 약국은 대체로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있어 접근성이 좋고, 질병에 약한 취약계층이 자주 찾는 곳이다.

 

무엇보다 중·동구 약사회에 속한 약사 수는 100여 명이 넘고, 약국 수는 60여 개소로 지역사회의 촘촘한 연결망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웃 지킴이 협력 기관에 제격이라는 것이 구의 설명이다.

 

협약에 따라 올해는 우선적으로 중구 소재 희망 협력약국 13개소에서 위기가구 발굴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들 협력약국의 약사들은 건강에 이상이 있어도 장기간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영양상태가 나빠 보이는 경우 우울증 약을 장기 복용하는 경우 등 도움이 필요한 주민을 발견하면 이웃 지킴이 카카오톡 채널(똑똑n)’로 구에 즉시 알리게 된다.

 

구는 신고 접수 시 각 동 찾아가는 보건복지 담당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려 대상자가 적절한 사회보장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심층 상담과 조사를 이어간다.

 

김정헌 중구청장은 지역의 위기가구 발굴에 협력·동참한 약사들에게 감사하다라며 앞으로도 중구는 한전 및 우체국과도 협력을 강화해 도움이 필요한 주민을 늦지 않게 찾아가는 사회안전망 체계를 다져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image

공공누리:출처표시 (제1유형)

인천중구청에서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