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새로운 도약 글로벌 융합 도시 인천 중구


보도자료

인천 중구, ‘집중관리 대상 빈집’ 11곳 정비로 구민 생활환경 개선

제공부서 :
홍보체육실 /
제공일자 :
2024-07-29

 

인천 중구, ‘집중관리 대상 빈집’ 11곳 정비로 구민 생활환경 개선

텃밭 1개소, 소규모 쉼터 8개소, 회차로 1개소 등 조성 -

 

인천시 중구(구청장 김정헌)는 올해 상반기 원도심 집중관리 대상빈집 11곳을 대상으로 정비 사업을 완료, 구민 생활환경 개선에 힘썼다고 29일 밝혔다.


빈집 정비 사업이란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근거, 관내 정주 환경을 저해하는 빈집(·공가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정비해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올해 구는 지난 20201단계로 수립한 빈집 정비계획의 관리대상 빈집을 기존 696동에서 712동으로 확대하는 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빈집 정비를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1단계 정비계획 수립 당시 포함됐던 696개 동 중 붕괴 가능성과 피해 예상 정도 등을 평가해 총 69동을 집중관리 대상으로 지정하고(20238), 위험도에 따라 ’·‘’·‘로 구분해 관리 중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집중관리 대상 중 등급 2개 동, ‘등급 7개 동을 포함해 총 11개 동에 대한 정비를 추진했다.

 

무엇보다 장기 방치된 빈집은 안전사고나 도시미관 저해 등의 문제가 있는 만큼, 적극적인 면담과 설득 등의 노력을 통해 소유자로부터 동의를 얻은 후 해당 빈집을 해체해 정비를 추진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텃밭 1개소, 소규모 쉼터 8개소, 회차로 1개소 등을 새롭게 조성했다. ‘동네의 골칫거리로 여겨졌던 빈집이 모두를 위한 공공용 공간으로 탈바꿈한 셈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조성된 공공용 토지(텃밭, 쉼터, 회차로)는 토지주와의 협약 사항에 따라 향후 3년간 공공용으로 활용된 후 반환될 예정이다.

 

아울러 현재 소유자를 확인할 수 없거나 소유자가 정비에 동의하지 않은 빈집이지만, 조치가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총 4개 동에 대해서는 낙하 방지 그물망을 설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완료했다.

 

김정헌 구청장은 최근 인구 구조 변화, 경제 사정 등으로 방치되는 빈집이 증가하는 상황이라며 적극적인 관리와 조치를 시행하는 등 구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image

image

image

image

공공누리:출처표시 (제1유형)

인천중구청에서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