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새로운 도약 글로벌 융합 도시 인천 중구


출범 소개

제물포구·영종구 출범 배경

  • 인구 증가, 도시 발전 등 환경의 변화
    • 1995년 약 1만여 명이었던 영종도의 현재 인구수는 약 13만 4천여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30년 동안 끊임없이 발전해 왔습니다. 이처럼 지속적으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주민들의 행정수요가 증가하였지만, 원거리 행정구역으로 인한 불편은 지속되었습니다.
  • 생활권 분리에 따른 주민 불편
    • 중구는 바다를 경계로 영종·용유 지역과 원도심으로 생활권이 분리되어 있으며, 영종·용유 지역은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도시가 급성장하며 새로운 생활권이 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행정구역은 중구 내륙(원도심)과 함께 ‘중구’로 묶여 주민들이 체감하는 생활권과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 지역별 산업구조·인구 규모 특성 고려
    • 중구 내륙 지역과 동구는 항만, 역사문화자원 등 유사한 생활권을 형성해 왔고, 영종·용유 지역은 인천국제공항과 영종 경제자유구역 등을 기반으로 신 생활권을 형성하였습니다. 오랜 기간 동일 생활권을 공유한 만큼 통합·조정을 통한 맞춤형 지역개발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제물포구·영종구 출범 방향

  • 맞춤형 지역개발 추진
    • (제물포구)
      • 제2공항철도, 인천순환3호선, 부평연안트램 추진 등 광역 교통망 확충을 통한 교통 접근성 향상
      • 내항 재개발, 경제자유구역 지정, 제물포 르네상스 추진으로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확보
      • 역사·문화를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 추진으로 지역 경제의 선순환 구조 정착, 문화도시 활성화
      • 동인천역 복합개발, 경인전철 지하화 등을 통한 지역 간 연결성 확보 및 균형 발전 도모
      • 원도심 재생 및 생활SOC 확충을 통한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
    • (영 종 구)
      • GTX-D·E 노선 조속한 추진, 제2공항철도 건설 추진, UAM 산업 육성 등을 통한 글로벌 관문으로 도약
      • 바이오특화단지, 첨단복합공항단지 등 첨단 미래산업 중심도시 도약
      • 안전과 지속 생존이 보장된 삶터, 여가와 휴식이 공존하는 쉼터 실현
      • 맞춤형 돌봄·교육, 지역 보건기능 강화를 통한 행복한 성장지원
      • 공항경제권과 K-콘텐츠를 연계한 글로벌 허브도시, 머무르는 도시로 경쟁력 강화
  • 주민편의, 행정서비스 질 향상
    • (제물포구) 2026년 7월 1일, 중구 내륙과 동구 주민의 서로 다른 복지혜택을 동일하게 적용받게 됩니다. 또한 원도심 활성화를 통해 주거 환경, 문화 시설 등 기반 시설이 확충될 예정입니다.
    • (영 종 구) 2026년 7월 1일, 생활권 내에서 행정업무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처리 가능합니다. 또한 향후 영종구 신청사 건립과 함께 문화, 복지, 체육시설 등 기반 시설이 확충될 예정입니다.
자료담당부서
영종구출범과 행정지원팀  한지혜(032-760-6434)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